본문 바로가기

C언어2

[C] 백준 1004번 (어린 왕자) 출발점과 도착점 그리고 원이 주어진다. 이 때,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갈 때 지나가야 하는 원의 최소 개수를 출력하는 것이 문제다. (문제 원문에서 '행성계'라고 한 것을 그냥 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) '지나가야 하는 원의 최소 개수'라는 표현이 잘 와닿지 않는다면, '지나갈 수 밖에 없는 원의 개수' 라고 생각하면 좀 더 쉬울 것 같다. 그렇다면, '지나갈 수 밖에 없는' 원은 어떤 원일까? 바로, 원 내부에 출발점 또는 도착점이 있는 경우이다. 따라서, 출발점을 포함하는 원의 개수와 도착점을 포함하는 원의 개수를 다 더 해주면 되는데,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. 이런 경우에는 원을 하나도 지나가지 않고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갈 수 있다. 즉, 출발점'만' 포함하는 원과 도착점'만' 포함하는 원의 개.. 2023. 4. 8.
const의 의미, 활용법 const는 constant(상수)의 줄임말이다. 수학의 상수처럼 변하지 않는 값이라는 뜻이다. => 값을 변경하려고 하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. 주로 포인터를 이용할 때 사용된다. 포인터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원본 데이터를 훼손 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, 포인터 앞에 const를 적어주면 이러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. ↓ 예시 ↓ int equal(struct student const *p1, struct student const *p2){ if (p1 -> number == p2 -> number) return 1; else return 0; } 2022. 11. 10.